전체 글(64)
-
[Python]문자열 정수의 합
한 자리 정수로 이루어진 문자열 num_str이 주어질 때, 각 자리수의 합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#1 문자열 안의 모든 숫자를 더하면 45가 됩니다. 입출력 예 #2 문자열 안의 모든 숫자를 더하면 1이 됩니다. def solution(num_str): answer = 0 for n in num_str: answer += int(n) return answer for문 안의 변수는 특정한 처리가 되지 않는다. for int(n) in num_str:이라고 작성했는데 SyntaxError: cannot assign to function call 오류가 발생 for 문안에서는 문자열을 나누는 것도 가능함. for 변수 in 리스트, 튜플, 문자열
2024.04.01 -
[Python]더 크게 합치기
연산 ⊕는 두 정수에 대한 연산으로 두 정수를 붙여서 쓴 값을 반환합니다.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.12 ⊕ 3 = 1233 ⊕ 12 = 312양의 정수 a와 b가 주어졌을 때, a ⊕ b와 b ⊕ a 중 더 큰 값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단, a ⊕ b와 b ⊕ a가 같다면 a ⊕ b를 return 합니다. 입출력 예 #1 a ⊕ b = 991 이고, b ⊕ a = 919 입니다. 둘 중 더 큰 값은 991 이므로 991을 return 합니다. 입출력 예 #2 a ⊕ b = 898 이고, b ⊕ a = 889 입니다. 둘 중 더 큰 값은 898 이므로 898을 return 합니다. def solution(a, b): afirst = str(a) + str(b) bfi..
2024.03.28 -
[Python]대문자로 바꾸기
알파벳으로 이루어진 문자열 myString이 주어집니다. 모든 알파벳을 대문자로 변환하여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 입출력 예 myString result "aBcDeFg" "ABCDEFG" "AAA" "AAA" def solution(myString): return myString.upper() 대소문자를 바꾸는 내장함수가 있다는 것을 다시금 재상기시킬 수 있었다. 대소문자 판별 함수 : valuable.isupper() / valuable.islower() 대소문자로 변환해주는 함수 : valuable.upper() / valuable.lower()
2024.03.21 -
[Python]공배수
정수 number와 n, m이 주어집니다. number가 n의 배수이면서 m의 배수이면 1을 아니라면 0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입출력 예 #1 60은 2의 배수이면서 3의 배수이기 때문에 1을 return합니다. 입출력 예 #2 55는 5의 배수이지만 10의 배수가 아니기 때문에 0을 return합니다. def solution(number, n, m): if number % m == 0 and number % n == 0: return 1 else: return 0
2024.03.18 -
[Python]정수 부분 출력하기
실수 flo가 매개 변수로 주어질 때, flo의 정수 부분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입출력 예 #1 1.42의 정수 부분은 1입니다. 입출력 예 #2 69.32의 정수 부분은 69입니다. def solution(flo): return int(flo) int() -> 정수부분을 출력해준다.
2024.03.16 -
[Python]길이에 따른 연산
정수가 담긴 리스트 num_list가 주어질 때, 리스트의 길이가 11 이상이면 리스트에 있는 모든 원소의 합을 10 이하이면 모든 원소의 곱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입출력 예 #1 리스트의 길이가 13이므로 모든 원소의 합인 51을 return합니다. 입출력 예 #2 리스트의 길이가 4이므로 모든 원소의 곱인 120을 return합니다. def solution(num_list): ars = 1 #ars는 배열이 아닌 변수이므로 1로 지정해둔다. if len(num_list) >= 11: return sum(num_list) elif len(num_list) = / 이하 >> a = range(2, 7) >>> print (list(a)) [2,3,4,5,6] >>> a..
2024.03.13